헨리 나우웬(Henri J.M. Nouwen, 1932`1996)
간결한 분량와 언어로 영혼을 맑게 울리는 그의 저서들은 세계적으로 복음주의자들의 큰 호응을 얻어왔다. 또한 그의 책들이 세속적인 명예를 멀리한 채 그리스도적 사명감에 충실했던 삶의 과정에서 쓰여졌기에 현대 교회에 근본적인 도전을 준다. 1932년 네델란드의 네이께르끄(Nijkerk)에서 태어난 헨리 나우웬은 1957년 사제로 서품을 받았으며 그 뒤 다시 6년간 심리학을 공부하였다. 그 뒤 미국으로 건너가 2년간 신학과 심리학을 통합하여 연구하였고, 마침내 삼십대에 느틀담 대학에서 심라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1971년 부터는 예일 대학 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1981년 헨리 나우웬은 중대한 결심을 하고 강단을 떠나 페루의 빈민가로 가서 민중들과 함께 하는 삶을 시작했다. 그의 동기는 자신의 풍요로움에 대한 죄책감과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하는 진지한 노력이었다. 그 후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하버드에서 강의를 했지만 그곳에서도 여혼의 안식을 느끼지 못했다. 마침내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정신박약 장애자 공동체 라르쉬(L'Arche)의 캐나다 토론토 공동체인 데이브레이크(Daybreak)에서 1996년 9월 심방마비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장애자들과 함께 생활해 왔다.
헨리 나우웬의 책들이 복음주의자들로부터 찬사를 받는 큰 두 가지 이유는 첫째, 그의 삶의 행적과 그리스도에 대한 그의 신앙 고백이 선명하게 일치한다는 점이다. 그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의 자리에 대한 추구에 충실했으며, 그 삶의 진통 속에서 묵상과 명상의 기록들이 나왔다. 둘째는 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그가 현대 사회의 문제와 현대인들의 절망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사제로서 많은 사람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치유책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
-
-
"섬김은 기도이며 기도는 섬김이다."
"사람들을 지태해 주는 힘은 우리의 인내하는 겸손한 태도임을,
거짓된 명렁함이나 쉽게 흥분하는 것이나 공허한 낙관주의에서
나오는 그런 태도가 아님을 보게 됩니다. 사역자는 사람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부름받은 자가 아니라 고통과 고난 가운데서
그들의 새로운 삶의 첫번째 표식을 찾을 수 있으며 슬픔 가운데서도
숨겨진 기쁨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부드럽게 상기해 주기 위해
부름받았습니다."
-예수님을 생각나게 하는 사람 중에서-
주님의 평강이 함께 하시기를.....샬롬^^
[스크랩] 하나님 안에서 나의 벗에게 5-관상의 시간 (0) | 2006.11.08 |
---|---|
[스크랩] 명상 2 (0) | 2006.11.02 |
[스크랩] 하나님 안에서 나의 벗에게 4 (0) | 2006.10.23 |
[스크랩] 명상 1 (0) | 2006.09.27 |
[스크랩] 하나님 안에서 나의 벗에게 3 (0) | 2006.09.21 |